문제 |
원인 |
해결방안 |
DNA가 잘리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잘리는 경우 |
DNA가 깨끗하지 않은 경우 |
DNA를 분광광도계와 아가로즈젤전기영동을 이용하여 정확한 농도와 순도를 확인해야 합니다. 순도가 낮으면 제한효소가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게 됩니다. 따라서 Phenol/Chloroform 추출방법으로 단백질을 제거하고, 에탄올침전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또는 DNA 분리kit 등을 이용하여 정제도를 높인 후 제한효소를 처리해야 합니다. |
DNA 농도가 너무 높거나 낮은 경우 |
DNA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점도가 높아져 효소반응이 저해를 받게되므로 희석하여 반응하고 너무낮은경우는 반응효소의 Km 값이 낮아지기 때문에 부분절단현상이 나타나게되므로 DNA를 더 첨가하여 반응해야 합니다. | |
DNA의 메틸화(dam, dcm, CpG methylation) |
이용하는 제한효소가 DNA 메틸화에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여 메틸화에 영향을 받는다면 메틸화에 영향을 받지않는 isoschizomer를 이용하거나, 기질DNA를 메틸라제(methylase) 유전자가 없는 대장균주(예JM110; dam-dcm-)를 이용하여 분리하여 이용해야 합니다. Dpn I과 같은 일부 제한효소는 염기(N6-methylated adenine)에 메틸화 되어 있을 때 작용하므로 methylase 유전자가 있는 대장균주로부터 기질DNA를 분리하여 이용해야 합니다. | |
DNA 염기서열정보가 잘못된 경우 |
DNA의 염기서열에서 제한효소부위와 개수를 확인해야 합니다. | |
제한효소가 불활성되거나 약화된 경우 |
제한효소의 활성도를 나타내는 unit은 linear DNA 1㎍을 1시간에 모두 절단 할 수 있는 제한효소의 양을 의미하므로 Lambda DNA나 기질DNA를 이용하여 효소의 활성을 검사하여 활성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. 많은 제한효소는 열에 약해 불활성화되거나 공기에 노출되어 단백질 산화가 되어 변성 될 수 있으므로 제한효소는 장시간 외부 노출을 하지 말고 희석하는 경우나 또는 반응액에 첨가시에도 부드럽게 섞어주어야 합니다. | |
제한효소의 실활이 확인되면 새로운 batch를 사용해야 합니다. | ||
제한효소 반응억제제(inhibitors)가 있는 경우 |
Phenol, Chloroform, Ethanol, EDTA, SDS, CsCl이 오염되어있거나 고농도의 염상태인 경우 제한효소의 활성이 억제 될 수 있습니다. DNA 분리 시 이용되는Phenol/Chloroform 처리 후 에탄올 침전방법 시 시약이 딸려오지 않도록 완전히 제거하도록 하며, 상업적으로 구입이 가능한 DNA 분리kit 등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 | |
제한효소가 반응액 내에서 완전히 섞이지 않은 경우 |
제한효소를 마지막에 첨가하고 부드럽게 혼합하여 완전히 섞이도록 합니다(vortex는사용금지) | |
제한효소 희석으로 효소활성이 낮아지거나 없어진 경우 |
제한효소는 가능하면 희석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희석이 필요한 경우 storage buffer나 희석액(diluent)에 희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. 바로 사용하는 경우라면, 1x reaction buffer에 희석 할 수 있으나 장시간 보관은 피해야 합니다. | |
제한효소 활성이 낮을때 |
효소의 보관이 부적절한 경우 |
제한효소는 성에 제거 기능이 없는-20°C 냉동고에서 보관하는 것이 최적이며 전용용기 또는 cooler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|
효소를 희석하여 사용보관한 경우 |
제한효소를 물에 직접 희석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적절한 희석액에 희석을 해야하고, 희석 후 쉽게 실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사용해야 하며 이를 냉동보관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. | |
Pipetting error |
점도가 높은 용액 DNA나 제한효소를 소량 취할 때 에 실제보다 더욱 소량을 취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pipetting에 주의해야하며, 경우에 따라서는 DNA나 효소를 희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. | |
글리세롤에 의한 효소활성방해의 경우 |
제한효소가 전체반응액의 10%를 넘게되면(즉, 글리세롤농도가5%를넘게되면) 효소활성이 방해를 받게되므로 반응액의 양을 조절하거나 제한효소 양을 줄여야 합니다. | |
반응온도를 잘못한 경우 |
제한효소의 반응온도를 확인하여 적절한 온도에서 효소반응을 실시해야 합니다. | |
반응조건이 맞지 않은 경우 |
제품설명서를 확인해야 합니다. | |
DNA 절단 band 수가 예상보다 많을 때 |
비특이적반응(star activity)이 나타난 경우 |
제한효소의 유사한 염기서열(cognate sequence)에 대한 비특이적 반응은 부적절한 반응조건 때문에 나타나므로 적절한 반응조건을 지키며 깨끗한 DNA를 이용해야 합니다. 비특이적인 반응의 원인: 과량의효소(>100 units/㎍), 5% 이상의글리세롤농도, 망간을비롯한2가이온(마그네슘대신), 적정농도 범위를 벗어난 NaCl 농도, 극단적인 pH (>pH 8.0), DMSO와 에탄올을 비롯한 유기용매의 오염 등 |
다른종류의 DNA가 오염된 경우 |
기질 DNA 분리 시 오염에 의한 다른 종류의 DNA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DNA를 새롭게 준비하여 이용해야 합니다. 아가로즈전기영동 시에 로딩완충액 또는 전기영동완충액에 다른 DNA 오염 가능성도 있으므로 새로운 것을 이용하는 것 이 좋습니다. | |
다른 종류의 제한효소가 존재한 경우 |
기준이 되는 Lambda DNA나 절단부위의 수가 확실한 기질을 이용하여 DNA band pattern을 확인하여 추가 band가 확인되면 다른 제한효소가 오염되었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새로운 batch의 제한효소를 사용해야 합니다. | |
DNA 염기서열정보가 잘못된 경우 |
DNA의 염기서열정보를 자세히 살펴서 정확한 제한효소부위와 개수를 확인해야 합니다. | |
제한효소 처리 후에 DNA가 Smearing 되거나 관찰되지 않을 때 |
기질DNA가 부적당한 경우 |
분광광도계나 아가로즈젤전기영동을 이용하여 DNA의 정확한 농도를 확인하고 RNA나 Guanidine과 같은 염이 오염되어 있는가를 확인해야 합니다. 염이 많은 경우 230nm에서 높은 흡광도를 보이는 점을 이용하여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RNA는 RNase를 처리하여 제거하고, 에탄올 침전방법으로 RNA와 염을 제거한 후 사용해야 합니다. |
비특이적 핵산분해효소(nuclease)의 오염의 경우 |
EndA(+) 대장균주에서 DNA를 분리한 경우 endonuclease가 오염되어 DNA를 완전히 분해하게 되므로 endA(-) 대장균주를 사용하고, 부득이한 경우 endonuclease를 제거 할 수 있는 DNA정제kit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반응성분들에 박테리아, 곰팡이 등 이오염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성분자체의 nuclease 오염여부를 확인하여 새로운 시약으로 교체해야 합니다. BSA가든buffer의 경우에는 박테리아나 곰팡이가 증식할 수 있으므로 저온 보관을 해야 합니다. | |
절단DNA의 ligation 효율이 낮을때 |
ligation buffer 조성의 문제 |
ligation buffer내의ATP, DTT 는 쉽게 깨어지는 성분이므로 새로운 buffer를 사용해야 합니다. |
ligation 반응에서 제한효소의 활성이 남아있는 경우 |
제한효소의 불활성화(heat inactivation, phenol extraction 방법등)를 확실히 한 후 사용해야 하며, 제한효소, ligase, DNA 중에 비특이적핵산분해효소의 오염가능성이 있는 것이 있는지 확인해봐야 합니다. | |
ligase 농도가너무낮은경우
|
blunt end ligation 반응은 sticky end에 비해 더 높은 농도의 ligase를 필요로 하며, 특정 제한 효소 중 에서도 ligation이 잘 안 되는경우(예; Mbo II)가 있으므로ligase 농도를 더 높이거나10% 농도가 되도록 PEG를 추가로 넣고 반응해야 합니다. |
플라스미드/제한효소/DNA/plasmid/전기영동/문제점/원인/해결방안
출처 : ㈜엘피스바이오텍
편집 : 가브리엘v
'학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맥머리 기본 유기화학(Fundamentals of Organic Chemistry 7th) 7판 솔루션(solution) (43) | 2014.02.19 |
---|---|
뉘른베르크 강령 (0) | 2014.02.19 |
유기화학 SN2,SN1 그리고 E2,E1,E1cB 정리 및 차이점 (0) | 2013.11.1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