&
, E2&E1&E1cB 정리 및 각각의 차이점
| |
|
특징 | * 들어오는 친핵체가 이탈기의 180° 반대 방향에서 기질을 공격 * 중간체 없이 단일 단계로 일어남 * 친핵체가 기질을 공격하여 반대 방향에 있는 이탈기를 밀어낼 때 분자의 배열은 반전(inversion) | * 일반적으로 3차 기질, 그리고 물과 알코올 같은 하이드록시 용매 중에서 중성이나 산성 조건 하에서만 일어남 * 카보양이온은 비카이랄이므로 위쪽이나 아래쪽 똑같이 친핵체와 반응할 수 있음. 따라서 거울상 이성질체의 50:50 인 라세미 혼합물을 생성 |
메커니즘 | 1. 친핵체( 2. Nu:- 의 전자쌍이 이탈기( 3. 전이상태에서 새로운 Nu-C 결합이 형성되는 동시에 C-X 결합은 부분적으로 끊어지며 음전하를 새로 결합하는 친핵체와 떠나는 이탈기 둘이 나눠가짐 4. 결합 형성과 결합 절단이 동시에 일어남 | 1. 친핵체가 접근하기 전에 자발적인 이탈기의 소실이 일어남.
2. 카보양이온이 생성되어 친핵체와 반응해 치환 생성물을 생성. |
입체 효과에 따른 반응성 | 친핵체의 기질에 대한 접근성에 좌우 3차<2차<1차<메틸 할로젠화 바이닐과 할로젠화 아릴은 반응성이 없음(∵입체 장애) | 카보양이온 중간체가 안정할수록 메틸<1차<2차<3차 |
반응속도 | 반응속도 k=[할로젠화 알킬(기질)][친핵체] 즉, 반응속도는 할로젠화 알킬(기질)과 친핵체 두 변수에 의존→이분자성 | 반응속도 k=[기질의 농도] → 일분자성 |
이탈기 반응성 | OH-, NH2-, OR-<<F-<Cl-<Br-<I- |
E2 | E1 | E1cB |
메커니즘 및 특징 | ||
Zaitsev 규칙 할로젠화 알킬에서 HX를 제거할 때 치환이 많이 된 알켄이 주로 생긴다. | ||
*중간체 없이 한 단계로 일어남 1. 염기는 이웃해 있는 수소를 공격하여 H를 떼어 내고 동시에 알켄 이중결합이 형성되기 시작하며 X기가 이탈하기 시작. 2. C-H 결합이 완전히 끊어지고 X기가 C-X 결합 전자쌍을 가지고 이탈할 때 중성 알켄이 생성
| * 1. C-X 결합이 먼저 절단되어 카보양이온 생성 2. 염기에 의한 양성자 제거로 알켄 생성. C-H 결합으로부터 나온 전자쌍이 알켄의 π 결합을 생성. | * 생물학적 경로에서 우세 * -OH 같은 이탈기를 가진 물질에서 보편적 1. 염기에 의해 C-H 결합이 끊어져 카보음이온 생성하며 이것은 이웃한 탄소의 이탈기를 밀어냄 2. 그 후 X-를 잃고 알켄을 생성 |
1차 할로젠화 알킬( ) :
* : I-, Br-, RS-, NH3 또는 CN- 와 같은 친핵체 이용 시
* 반응 + E2 제거 반응 : 수산화 이온이나 알콕시화 이온(RO-) 같은 센 염기 이용 시
*E1cB 제거 반응 : 이탈기가 카보닐기(HO-C-CH-C=O)로부터 탄소 2개 떨어진 곳에 있을 시
2차 할로젠화 알킬( ) :
* : 약염기성 친핵체 이용 시
*E2 제거 반응 : 센 염기 이용 시
*E1cB 제거 반응 : 이탈기가 카보닐기(HO-C-CH-C=O)로부터 탄소 2개 떨어진 곳에 있을 시
3차 할로젠화 알킬( ) :
*E2 제거 반응 : 염기가 이용될 시
* 과 E1 제거 반응 : 중성이나 산성 조건 하에서 일어남
*E1cB 제거 반응 : 이탈기가 카보닐기(HO-C-CH-C=O)로부터 탄소 2개 떨어진 곳에 있을 시
'학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생화학] 제한효소 전기영동 문제점 원인 및 해결방안 (0) | 2014.11.22 |
---|---|
맥머리 기본 유기화학(Fundamentals of Organic Chemistry 7th) 7판 솔루션(solution) (43) | 2014.02.19 |
뉘른베르크 강령 (0) | 2014.02.19 |
댓글